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78
2178번: 미로 탐색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시간 제한 | 메모리 제한 |
1초 | 192MB |
문제
- 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
1 | 0 | 1 | 1 | 1 | 1 |
1 | 0 | 1 | 0 | 1 | 0 |
1 | 0 | 1 | 0 | 1 | 1 |
1 | 1 | 1 | 0 | 1 | 1 |
-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
-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
입력
- 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출력
- 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.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.
알고리즘 분류
- 그래프 이론
- 그래프 탐색
- 너비 우선 탐색
📖 Code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_x = deque()
d_y = deque()
d_x.append(0)
d_y.append(0)
count = 1
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rr = [[0 for j in range(y)] for i in range(x)]
for i in range(x):
xy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)
for j in range(y):
arr[i][j] = xy[j]
arr[0][0] = 0
while (len(d_x) != 0):
count += 1
for _ in range(len(d_x)):
x_ = d_x[0]
y_ = d_y[0]
d_x.popleft()
d_y.popleft()
if y_+1 < y:
if arr[x_][y_+1] == 1 :
arr[x_][y_+1] = count
d_x.append(x_)
d_y.append(y_+1)
if y_-1 >= 0:
if arr[x_][y_-1] == 1 :
arr[x_][y_-1] = count
d_x.append(x_)
d_y.append(y_-1)
if x_+1 < x:
if arr[x_+1][y_] == 1 :
arr[x_+1][y_] = count
d_x.append(x_+1)
d_y.append(y_)
if x_-1 >= 0:
if arr[x_-1][y_] == 1 :
arr[x_-1][y_] = count
d_x.append(x_-1)
d_y.append(y_)
print(arr[x-1][y-1])
✅ Comment
0, 0 지점부터 좌우상하를 확인하여 만약 해당하는 좌표에 값이 1이라면.
d_x, d_y에 해당 좌표를 넣어주고. 해당하는 좌표의 값에 count의 값을 넣어주면서.
좌표의 값이 1인 모든 곳을 탐색하면 된다.
출력은 좌표의 우측 하단인 arr[x-1][y-1]를 출력하면 된다.
반응형
'알고리즘 > Solved_Sil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 Silver II 2630] 색종이 만들기 (0) | 2023.09.05 |
---|---|
[Python Silver III 1463] 1로 만들기 (0) | 2023.09.01 |
[Python Silver IV 11399] ATM (0) | 2023.04.13 |
[Python Silver I 1076] Z (0) | 2023.04.11 |
[Python Silver III 1003] 파보나치 함수 (0) | 2023.04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