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언리얼2 언리얼 함수 정리. ? UPROPERTYUPROPERTY를 사용하면 변수를 언리얼 에디터에서 수정할 수 있게 만들어 줄수있음.UPROPERTY(EditAnywhere, BlueprintReadWrite)int32 MyVariable;EditAnywhere: 에디터의 어떤 곳에서든 이 변수를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.EditDefaultsOnly: 이 변수는 기본 클래스 인스턴스에서만 수정 가능하고, 생성된 객체에서는 수정할 수 없습니다.BlueprintReadOnly: 블루프린트에서 이 변수를 읽기만 할 수 있습니다.언리얼 엔진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과 통합되어, UObject의 수명을 관리함.UPROPERTY()UObject* MyObject;Transient: 이 변수는 저장되지 않으며, 게임 세션 간에 값이 유지되지 않습니다.. 2024. 7. 16. [ Unreal 5.4.2 ] Character 클래스 이동 구현 (EnhancedInput) 및 게임 모드 설정 테스트 하는 동안 Default Pawn Class를 설정해주기 위해서 임시로Game Mode Base를 상속받은.TestGameModeBase 스크립트를 생성해 주었습니다..h#pragma once#include "CoreMinimal.h"#include "GameFramework/GameModeBase.h"#include "TestGameModeBase.generated.h"/** * */UCLASS()class TESTGAME_API ATestGameModeBase : public AGameModeBase{ GENERATED_BODY()public: virtual void BeginPlay() override;};//.cpp#include "TestGameModeBase.h"void ATestGam.. 2024. 7. 16. 이전 1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