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/Solved_Gold
[Python GOLD V 5430] AC
Hexs
2023. 9. 1. 23:26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430
5430번: AC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,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만약,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.
www.acmicpc.net
시간 제한 | 메모리 제한 |
1초 | 256MB |
문제
- 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.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.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(뒤집기)과 D(버리기)가 있다.
- 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,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.
- 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"AB"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. 예를 들어, "RDD"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
- 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,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-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T는 최대 100이다.
-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.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
- 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0 ≤ n ≤ 100,000)
- 다음 줄에는 [x1,...,xn]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(1 ≤ xi ≤ 100)
- 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.
출력
-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,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만약,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.
알고리즘 분류
- 구현
- 자료 구조
- 문자열
- 파싱
- 덱
📖 Code
# 1 번 코드 #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import sys
Count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Count):
result = []
R_Count = 0
Check = 0
deq = deque()
printcheck = False
func = list(input())
val_count = int(input())
if(val_count != 0):
lst = input()
lst = lst.replace('[',"").replace(']',"")
lsts = list(map(int,lst.split(sep=',')))
for i in lsts:
deq.append(i)
for i in func:
# 0은 정순 , 1은 역순
if i == "R":
R_Count+=1
if Check == 0:
Check = 1
elif Check == 1:
Check = 0
if i == "D":
if len(deq) <1 :
print("error")
printcheck = True
else:
if Check == 0:
deq.popleft()
elif Check == 1:
deq.pop()
if printcheck != True:
if R_Count % 2 == 0:
result = list(deq)
print("[",end="")
for i in range(len(result)):
print(result[i], end="")
if i != len(result)-1:
print(",",end="")
print("]\n",end="")
else:
result = list(deq)[::-1]
print("[",end="")
for i in range(len(result)):
print(result[i], end="")
if i != len(result)-1:
print(",",end="")
print("]\n",end="")
else:
lst = input()
if func.count("D") >0 :
print("error")
print("[]")
else:
print("[]")
✅ Comment
제가 처음 작성한 코드입니다.
입력값이 크기 때문에 시간복잡도에 유의해서 작성했었습니다. 그래서
Deque의 pop, popleft 은 시간복잡도가 O(1) 이기 때문에 Deque를 활용해서 실질적으로 문자 "R" 이 입력되었을 때마다 문자열을 직접 뒤집는 게 아니라 "R"이 입력된 횟수를 체크하고 입력된 횟수가 홀수이면 "D"가 입력되었을 때 pop을 사용하여 뒤에서부터 삭제하고 "R"이 짝수로 입력되어 있다면 "D"가 입력되었을 때 popleft를 사용하여 앞에서부터 삭제합니다.
제가 생각한 게 맞는 거 같은데.
위 코드를 사용하면 백준 에서는 16%에서 틀렸다고 나옵니다.
질문 게시판의 모든 예제를 확인해봐도 정확하게 나오는데 채점 시 틀렸다고 나오게 됩니다.
제가 예상한 바로는 입출력 쪽에서 문제가 있어서 그런 거 같습니다.
입력받을떄도 대괄호와 쉼표를 빼주어야 하고
출력할떄 또한 list 그대로를 출력하면 안 되고 해당 숫자를 대괄호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한 뒤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.
하지만 출력 또한 수정했음에도 틀렸습니다. 라고 나와서 다른 분의 코드를 참조하여서 통과하였습니다.
방식은 똑같습니다.
통과 코드.
📖 Code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Count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Count):
func = input()
num_count = int(input())
arr = input()[1:-1].split(',')
queue = deque(arr)
flag = 0
if num_count == 0:
queue = []
for j in func:
if j == 'R':
flag += 1
elif j == 'D':
if len(queue) == 0:
print("error")
break
else:
if flag % 2 == 0:
queue.popleft()
else:
queue.pop()
else:
if flag % 2 == 0:
print("[" + ",".join(queue) + "]")
else:
queue.reverse()
print("[" + ",".join(queue) + "]")
반응형